//구글광고

시놀로지 NAS 본격 사용하기 1. 단일볼륨설정하기


안녕하세요.

시놀로지 DSM 설치에 이어 본격 사용하기 1탄

볼륨 설정하기 입니다.


전 포스팅에서 DSM 설치까지 마쳤으면 이제 볼륨설정을 완료해야 NAS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NAS (Network Attached Storage ) 는 디스크에 네트워크를 물려놓은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이 NAS 장치에 디스크를 어떻게 사용할 것인지에 대한 구성을 완료하고 사용할 수 있게 설정해야 합니다.


여기서 나오는 기술이 raid 기술입니다.


raid 기술은 여러개의 디스크를 사용하여 안정성과 성능 간의 환경을 설정하는 기술입니다.

raid 시뮬레이션은 시놀로지 공식 홈페이지에서 쉽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시놀로지 레이드 계산기 https://www.synology.com/ko-kr/support/RAID_calculator?hdds= )


raid 방식은 아래의 시놀로지 공식 홈페이지에서 발췌한 그림으로 대신합니다.



제가 구매한 DS718+ 같은 경우에는 디스크 슬롯이 2개 입니다.

따라서 선택할 수 있는 RAID는 SHR, RAID0 , RAID1 입니다.


이중 RAID 0 , RAID 1 을 살펴보면

RAID 0 은 2개의 디스크를 마치 1개의 디스크 처럼 사용합니다.

따라서 속도가 빨라 집니다. 단점은 디스크 고장 발생시 모든 데이터가 소실됩니다.

만약 4테라 하드 2개를 장착했다면 총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은 8테라가 됩니다.


RAID 1 은 2개의 디스크를 미러(복제) 해서 저장합니다.

운영중에 디스크 장애가 날 경우 고장난 디스크만 동일한 디스크로 교체해 주면 쉽게 복구할 수 있습니다.

나머지 RAID는 위의 그림 설명을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하지만 중요한점은 RAID를 사용하더라도 엔터프라이즈의 고급 장비가 아닌 가정용 장비이기 때문에

쉽게 고장이 날수도 있고 시놀로지 NAS 기계 자체가 고장날 수 있기 때문에

RAID를 뭘 쓰던 백업용 별도의 하드디스크는 필수입니다.


RAID는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서 선택하는 것이지 절대적인 것은 아니기 때문에 반드시 별도의 백업 하드로

백업하기 바랍니다.


물론 시놀로지 NAS는 이러한 백업 솔루션도 무료로 사용할 수 있으며 그 기능이 매우 강력하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시놀로지 제품을 사용합니다.


저는 집에서 뒹굴던 320GB 하드와 노트북에 장착되어있던 1TB 하드를 장착할 것이기 때문에

RAID 설정을 하지 않고 단일 볼륨으로 사용할 예정이며, 별도의 백업은 필수인것을 명심하시기 바랍니다.


 

오늘 포스팅은 단일 볼륨 제작하기 입니다.

RAID를 선택하실 분들은 다른 포스트를 참조해 주시기 바랍니다.



구성내용을 그림으로 그려보면 대략 다음과 같습니다.

1번 슬롯에 WD 320GB Hdd 용하드 로 볼륨 1

2번 슬롯에 도시바 노트북용 1TB HDD로 볼륨 2


그리고 별도 USB 외장 하드로 4TB 백업용 하드


이렇게 구성할 예정입니다.


물론 처음부터 하드 빵빵하게 하고 싶지만 자금의 압박이.. ㅋㅋ

NAS보다 디스크 가격이 더 비싸죠


이렇게 설정해서 날라가도 상관없는것은 볼륨 1번에

그리고 조금 중요한 데이터는 볼륨 2번에


그리고 중요한 데이터는 백업 솔루션을 통해 외장하드로 백업 받는 형태로 할 것 입니다.



먼저 볼륨을 설정해보죠

DSM에 접속후 [메인메뉴] - [저장소관리자] 로 이동합니다.


저장소 관리자에서 왼쪽 탭에 [볼륨] 을 클릭 하면 시스템에 볼륨이 없습니다. 라는 메세지가 보입니다.

상단에 [생성] 버튼을 클릭합니다.



저는 단일 볼륨을 만들것이기 때문에 [사용자 지정]을 선택후 [다음] 버튼을 클릭해 줍니다.



스토리지 풀 선택 화면입니다. 기존의 스토리지 풀이 없기 때문에 새로운 스토리지 풀 생성 을 선택합니다.


스토리지 풀 유형 선택에서 저는 단일 볼륨을 만들 것이기 때문에 보다 우수한 성능을 선택합니다.


여기서 RAID 종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RAID 를 사용하실분들은 맞게 선택해 주시고

저는 단일 볼륨을 선택할 것이기 때문에 기본으로 선택합니다.


RAID에 속할 디스크를 선택하는 과정입니다. 저는 단일 볼륨이기 때문에 하나만 선택합니다.



볼륨을 구성하면 디스크의 모든 데이터가 삭제됩니다. 데이터가 삭제되는것에 주의 하시기 바랍니다.


디스크 검사 수행화면 에서 [예]를 선택하여 검사를 수행해 줍시다.


디스크 정보가 나오면 다음을 클릭해 줍니다.


파일 시스템 선택 화면 입니다. btrfs와 ext4 를 선택할 수 있는데, 시놀로지의 장점인 랜섬웨어 방지를 위한 멀티 스냅샷을 위해선

Btrfs로 설정해서 사용해 줍니다.


설정확인에서 정보를 확인한 후에 [적용] 을 눌러 볼륨을 생성합니다.


이렇게 볼륨생성 작업 진행중이 보일겁니다.


이렇게 볼륨을 생성하시면 시놀로지 NAS를 정상적으로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의점 : 1. 시놀로지 DSM을 설치 해도 사용이 안될경우 볼륨을 생성해야만 쓸수 있습니다.

           2. 볼륨을 생성할 때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 고민해 보시기 바랍니다.

           3. RAID 는 꼭 그 기능을 생각하고 사용하셔야 합니다.

           4. 중요 데이터는 별도의 장소에 백업을 보관하여야 합니다.

           5. 생각보다 디스크는 고장이 잘 납니다. 따라서 RAID와 백업을 꼭 고려하셔야 합니다.

           

이상으로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이전 포스트에서 세팅한 NAS에 운영체제인 DSM을 설치 해보는 시간을 가지겠습니다.



시놀로지 NAS에 디스크를 설치하고 최초로 DSM을 설치해야 합니다. 

DSM에 접근하는 방법은 크게 2가지 입니다.


웹브라우저를 통해 아래 방법중 한가지를 통해 접근할 수 있습니다.


분류

방법

 비고

 1. 웹브라우저 주소창에 주소입력

(웹 어시스턴트를 이용한 접속방법)

 - 시놀로지 NAS를 동일한 네트워크(공유기)

상에 연결한 뒤,  find.synology.com 을 입력한다.

제일 간단하니까 이방법 사용하세요 

(일반적인 공유기 환경에서는 이방법가능)

 2. 서버 이름이나 IP 주소를 사용하여 로그인하는 방법

 -  동일한 혹은 연결가능한 네트워크에 시놀로지 NAS 를 연결한다.

- 인터넷 브라우저 주소창에

 http://diskstation:5000 을 입력


- http://{시놀로지NAS의 IP}:5000 을 입력하여 접속.

 - http://diskstation:5000 의 diskstation 은 기본값이므로 이미 설정한 후에 변경하였다면 변경한 NAS 서버 이름으로 수정하여야 한다.


- ip주소는 네트워크 관리자에게 문의 하거나 공유기 상의 관리자 페이지에 들어가서 내부 네트워크 연결정보를 보면 알 수 있다.


시놀로지 DSM을 지원하는 브라우저는 다음과 같습니다.

 Chrome  Firefox  Safari: 10 이상  Internet Explorer: 10 이상  Safari: iOS 10 이상  Chrome: Android 6 이상 




DSM 접속에 성공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이 상태에서 연결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이렇게 사용권 계약 화면이 나옵니다 체크하고 확인으로 넘어갑니다.



이렇게 환영합니다! 화면이 나타납니다. 설정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지금 설치 버튼을 클릭해서 다음으로 넘어갑니다.


여기서 주의 하실점은 기존 하드디스크의 내용이 삭제 되는 것 입니다.


이 포스트는 최초 설치를 하는것을 가정하여 작성하였기 때문에 확인으로 넘어가겠습니다.

복구 등의 다른 상황에서는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기존에 자료가 있던 하드는 파일 시스템이 달라 그대로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중요한 자료가 있는 하드를 넣지 마세요.

그럴 경우엔 다른 디스크로 DSM 설정한 후 자료를 복사하셔야 합니다. 


확인을 누르면 초기화중.. -> 파티셔닝 -> DSM 다운로드 -> DSM 설치 순으로 진행됩니다 잠시 기다려 주세요



설치가 다 끝나면 이렇게 다시 시작중 화면이 뜨면서 재시작 합니다.



10분이 지루해서 다른창으로 접속해봐도 이렇게 준비중만 뜨고 반응이 없어요 ㅎㅎ

실제로 10분을 통으로 다 기다리진 않습니다. 한 3분 정도 후에 삐~ 소리가 들리고 이렇게 화면이 바뀝니다.



관리자 계정 생성에서 원하는 정보를 입력해줍니다.



서버이름은 네트워크(같은 공유기 내의 집안 네트워크 등)에서 NAS로 접속하는 접속이름입니다.

사용자 이름은 관리자 아이디를 지정합니다. 지금 예시로는 admin 으로 했지만 admin, administrator 같은 외부에서 해킹시도 하기 좋은 아이디 말고 특이한 걸로 하실것을 추천드립니다. 



DSM 업데이트 및 유지보수 입니다. 저는 최신버전 자동설치를 선택했습니다.

정품 시놀리지 니까 자동설치가 좋겠죠

헤놀로지같은 경우는 업데이트 이후 문제가 생길 수도 있으니 주의 하시기 바랍니다.



QuickConnect 설정입니다. QuickConnect는 외부에서(집밖에서) NAS를 쉽게 접속하게 해주는 DDNS 서비스 같은것 입니다.

예를들어 우리집에 azfactory 라는 quickConnect 로 설정해 놓고 고향부모님 댁이나 회사에서 NAS에 접속할 때 

ip번호 적어서 접속하지 않아도 간단하게 Quick Connect ID 만 있으면 QuickConnectID.quickconnect.to 만 입력하면

NAS에 접속 할 수 있습니다.


저처럼 설정 해주시고 다음을 눌러 주시거나

다음 버튼 아래에 이 단계 건너뛰기 하신 후에 나중에 설정 할 수 있습니다.



동의, 승인등의 체크박스를 2번 클릭 하면

다음 버튼이 활성화 됩니다. 다음으로 넘어갑니다.



만약 Quick Connect 를 설정하였다면, 이렇게 접속 URL을 제공합니다.

앞으로 외부에서도 위의 주소를 입력하면 NAS로 편하게 접속할 수 있습니다.

물론 모바일 App에서도 위의 주소로 접속할 수 있습니다.



이제 설정이 끝났습니다.

이동으로 마무리 합니다.



사용가능이나 나중에 알림을 선택해주시면 이제 메인 화면으로 진입합니다.



몇가지 간단한 튜토리얼이 나온 뒤 아래와 같이 메인 화면이 나옵니다.


이제부터는 간단한 세팅을 해보겠습니다.


1. 우선 업데이트 입니다.

보안을 위해 항상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 잊지마세요

제어판을 클릭합니다.


업데이트 및 복원을 클릭하세요


만약 업데이트가 있다면 다운로드 클릭(설치 시기에 따라 없을수도 있어요 )




다운로드가 끝나면 지금 업데이트 버튼이 생깁니다.

버튼을 클릭해서 업데이트를 수행하세요

(일부 버전은 NAS를 재기동 할수 있습니다 물론 그럴땐 재기동 할수 있다는 알림이 나옵니다. )


이렇게 유의사항이 나옵니다.

업데이트를 수행합니다.



이렇게 업데이트에 따라 NAS를 재기동 할 수도 있습니다.


기다려 줍니다.


이쯔음 되면 이메일 함에 시놀로지 계정 활성화 메일이 옵니다.

(QuickConnect를 설정했을 경우)

열어서 활성화 해 줍시다.


이렇게 아까 입력한 메일 주소로 활성화 정보가 날아옵니다

가운데 https:// 로 시작되는 링크를 클릭하여 활성화 해 줍시다.


링크를 클릭하면 메일 주소와 암호를 넣으라고 나옵니다

입력하고 sign in 을 눌러 로그인합니다.



sign in 을 누르면 이렇게 웰컴 화면이 나옵니다

Start Now를 클릭해 줍시다.


continue를 눌러줍시다.



이렇게 필수 항목을 넣고 

우측 하단에 SAVE를 클릭해줍니다.


이로써 등록은 끝났습니다.



등록을 하고있으면 NAS가 업데이트 마치고 다시 기동되었을 겁니다.


최초에 등록한 아이디 패스워드를 넣고 로그인 합니다.


이제 패키지 업데이트도 진행합니다.


패키지 센터를 클릭합니다.


각종 동의항목을 체크하고 확인을 눌러줍니다.


좌측의 설치됨 텝을 클릭한 후 우측에 모두 업데이트를 눌러 업데이트를 수행합니다.



[실행 중] 글자가 [업데이트 중...] 으로 변경되면서 업데이트가 진행됩니다.


업데이트가 완료되면 이렇게 변경됩니다.

이것으로 업데이트가 모두 끝났습니다.


[ 물론 설치 시기에 따라 업데이트 항목이나 내용이 다를 수 있습니다. ]


여기까지 DSM 설치를 마쳤습니다.

다음으로는 저장소 생성으로 넘어가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아재입니다.

오늘은 그동안 군침흘리면서 구경만 하던 시놀로지 NAS 를 구입했습니다.


그래서 개봉기!!

먼저 박스 크기가 굉장히 작고 아담합니다.


NAS를 단순한 스토리지로 쓰는 시대는 이미 지나갔죠.

저도 이전에는 Dropbox 1TB 서비스를 사용했었지만,


파일 저장소 뿐만 아니라 홈 서버로 활용하기 위해서 NAS로 갈아타게 되었습니다.


홈서버 활용을 위해선 

인텔 계열의 NAS가 필요한데 이중에 적합한 모델이

DS218+ , DS718+, DS918+ 입니다


그중 디스크를 장착할 수있는 갯수에 따라 

DS218+, DS718+ 는 2Bay NAS

DS 918+ 는 4Bay NAS 로 분류되구요


DS218+ 와 DS718+ 는

CPU에서 차이가 납니다.

218+ 는 듀얼코어 CPU

718+, 918+ 는 쿼드코어 CPU 입니다.



정리하자면 이렇게 됩니다.

기능 

 DS218+

DS718+ 

DS918+ 

장착가능디스크 

CPU 코어 

RAM 

2


RAM은 업그레이드 할수 있기 때문에,

디스크는 2개만 운영하고 쿼드코어인 DS718+  를 선택했습니다.


물론 가격적인 부분도 고려 대상이었습니다.

각 등급이 오를때마다 약 14만원 정도 씩 상승하더군요


                      

택배가 왔는데 뽁뽁이로 엄청 둘둘 말려진 NAS 박스를 받았습니다. 속박스를 열어보니 사이즈가 작고 아담한게 딱 마음에 들더군요




이렇게 포장들을 개봉해 보면 이렇게 구성품이 나옵니다.




구성품은 NAS 본체와 설명서, 전원선과 어댑터, 디스크 잠금 키, LAN 케이블 2개 입니다.

2포트 라 그런지 LAN 케이블도 2개가 들어있네요.


디스크잠금 키는 디스크 장착한 뒤에 디스크 베이가 열리지 않게 홀드를 해주는겁니다.




2베이 NAS는 작은 디자인에 탄탄한 스틸 바디로 디스크 베이는 아랫부분을 딸깍 눌러주면 쉽게 열려서 꺼낼수 있습니다.

이렇게 베이 2개를 다 꺼내주면 내부 본체가 보입니다



램업그레이드는 디스크 베이를 꺼내자마자 바로 앞에 램슬롯이 보입니다.

굉장히 쉽게 업그레이드 할 수 있습니다


DDR3L 노트북용 저전력 메모리 8GB를 장착하면 쉽게 장착됩니다.



.

디스크 장착은 설명서에 잘 설명이 되어 있는데요

트레이 좌우측의 플라스틱 홀더를 밀어내고 디스크를 꼽은 뒤

다시 장착해주면 됩니다.


정말 간단하죠, 단 2.5인치 하드의 경우 왼쪽 홀더를 연뒤 하드를 장착하고

홀더를 다시 장착하지 않습니다. 실제로 장착해보면 홀더가 안들어가요 ㅎㅎ


디스크의 설치도 정말 간단합니다. 

NAS 본체에 장착한 후 홀더로 잠궈주시면 열리지 않습니다.



후면입니다.


우측에 도난방지를 위한 켄싱턴 락이 보이구요

외장 하드 연결을 위한 e-sata


무선랜카드나 기타 외장형 하드디스크 등을 연결하기 위한

USB 3.0 포트 2개도 보이구요 그 옆에 작게 리셋 버튼도 있습니다.


전원포트와 LAN 포트 718+ 모델은 랜 카드가 2개 입니다.

싱글로 쓸땐 둘중 아무곳이나 연결해서 쓸수 있구요


연결을 이중화 할수도 있습니다.


자세한 스팩 및 기능 정보는 아래 공식홈페이지에서 구할 수 있습니다.

https://www.synology.com/ko-kr/products/DS718+


해당 페이지에서 기능 그림을 발췌했습니다.


역시 정품 시놀로지 NAS는 그 만듦새가 뛰어나고,

(이렇게 작게 PC NAS를 구성할 수 없겠죠.)


최적화 된 쿨링시스템과 

그리고 자동 보안업데이트의 이점까지


들인돈이 아깝지 않군요.

앞으로 이 NAS로 다양한 뻘짓을 해보려 합니다.



이상 개봉기를 마치겠습니다.


+ Recent posts